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은 물론, 한국 정부 기관, 금융기관, 민간 기업들까지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차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외교・국방・산업통상자원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수사기관인 경찰청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대검찰청도 관내 인터넷망에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했다.

국책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사내 외부망이나

고객용 PC에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도록 제한했고,

인터넷 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등도 사용을 금지.

 

한국뿐 아니라

호주・일본・대만 등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이탈리아는 아예 딥시크 앱 다운로드를 차단했고,

미국은 항공우주국(NASA), 해군 등 연방기관에서 딥시크 사용을 막았다.

이러 상황 속에 딥시크는

"최근 딥시크와 관련된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라고 발표했지만, 개인정보 수집 문제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차단 및 금지한 이유인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관해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보자.

(원래 못하게 하면 더 궁금하다)


1. 챗GPT엔 있고 딥시크엔 없는 옵션


딥시크에 개인정보와 관련해서 가장 우려가 되는 것은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을 거부하는 '옵트아웃(opt-out)'이라는

선택지를 딥시크가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등

다른 생성형 AI서비스에는 이 옵트아웃 옵션이 있다.

 

이 옵트아웃 옵션을 통해

사용자는 AI가 수집한 자신의 데이터가

활용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반응형

ChatGpt의 옵트아웃 기능

이 기능으로 사용자는 챗GPT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수집 및 활용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런데!!


딥시크에 옵트아웃이 없다.

 

심지어

수집된 데이터를 중국 정부가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중국이 2021년에 제정한 데이터보안법

국가 안보 수호나 범죄 수사의 필요에 따라

국가 기관이 정보를 수집할 때

관련 조직이나 개인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즉,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기업은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

딥시크가 수집한 데이터가

중국에 있는 서버에 저장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감은 분명 존재한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직접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으며, 지금껏 기업 혹은 개인에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라고 요구한 적도 없고,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

이라고 했다는데... 믿어지나..?


2. 딥시크가 수집하는 데이터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텍스트 및 오디오를 포함한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채팅기록
 휴대폰 모델, 사용하는 운영 체제, IP주소, 키 입력 패턴

등등


이중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수집 정보는

'키 입력 패턴'

고려대학교 인공지능연구소 최병호 교수는 

키 입력 패턴을 수집하는 것이 "굉장히 특이한 케이스"라며, 

"제가 아는 한 다른 서비스에서 키 입력 패턴을 수집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도 지적함)

"보통 개인정보를 수집한다는 건 (이를 토대로 학습해서) 서비스를 더 좋게 만든다는 뜻인데, 

키 패턴을 수집하는 것은 서비스 향상과는 관계가 없어 보입니다."

 

이 말은..

그냥 서비스 품질을 위한 개인 정보 수집이 아니라

그냥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당신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싶다는 의미라는 것..

"같은 출입문 비밀번호를 누르더라도 사람에 따라

누르는 리듬이 다 다른 것처럼,

키 입력 패턴도 사람마다 다 다르다"

 

"이 정보를 수집해 IP, 쿠키, 휴대폰 정보 등

각종 정보과 조합하면

이 사람이 누구인지 다 식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딥시크는 서비스의 "안전성, 보안성,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정보를 활용한다고 한다.

딥시크 창립자 량원펑

그런 다음 이 정보를 서비스 제공업체, 광고 파트너 및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며 "필요한 기간 동안" 보관한다.

 

반응형